inline / block level
css를 처음으로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들었던 이야기는 인라인과 블럭 요소의 구분이었다.
블럭 방식은 부모의 가로 넓이를 모두 채움
인라인 방식은 딱 자기 크기만큼 채움
인라인을 블럭 레벨로 블럭을 인라인으로 마음껏 바꿀 수 있다.
대표적인 블럭 레벨의 html테그로는 hn이 있다.
처음 html 을 접했을 때 제목 부분에 사용하는h1 테그가 줄 바꿈을 자동으로 해 주는 것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.
이처럼 블럭 레벨은 혼자서 가로를 다 차지한다는 특성이 있다. 그래서 제목 다음에 바로 내용(p)이 나오지 않고 다음 줄에 나오도록 할 수 있는 것
h1 스타일에 border값을 1px적용을 하면 가로를 차지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.
인라인 방식은 줄바꿈을 야기하지 않는다.
대표적으로 a테그가 있는데 우리가 a테그로 링크를 지정 해 놓아도 뒤에 내용이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 다는 것을 볼 수 있다.
원래 블럭 레벨인 h1테그를 inline으로 바꿀 수 있는데
h1{ display: inline;}
a{ displsy: block; }
이런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.
이처럼 display를 사용해서 인라인 레벨을 블록 레벨로, 또 블록은 인라인레벨로 속성을 바꿀 수 있다.
'Programing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sition (0) | 2017.07.26 |
---|---|
마진 겹침 현상 (0) | 2017.07.25 |
box-sizing (0) | 2017.07.25 |
CSS box-model (0) | 2017.07.25 |
CSS Diner 정답공유와 정리 (0) | 2017.07.24 |
댓글